사진. 애경케미칼
2025년까지 TPC 양산 체계 구축하고 2026년 1월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해 아라미드 섬유산업 밸류체인의 핵심 부분을 차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0년대 중반부터 TPC 국산화를 위한 연구에 돌입,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한 뒤 울산공장에서 데모 플랜트를 가동했다. 기존 TPC 생산 방식은 열을 활용해 이산화황과 염화수소와 같은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반면, 애경케미칼은 광(光)공법을 적용해 이산화황 가스 발생을 억제하고 염화수소를 포집해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TPC는 강철보다 가볍고 단단하며 난연성까지 갖춘 슈퍼섬유, 아라미드의 주원료다. 전 세계적으로 아라미드 시장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면서 TPC 수요 역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청이 발표한 국내 아라미드 수출액은 지난 2007년 통계집계 이후 2022년까지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최근 아라미드 수요 역시 대다수 화학 소재가 글로벌 경기침체와 공급과잉 여파로 부진한 것과 달리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도 연평균 5% 이상의 꾸준한 성장률을 보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애경케미칼 관계자는 “광케이블과 항공우주 산업향 아라미드 수요는 앞으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아라미드 시장 성장에 맞춰 TPC 양산 체계를 구축, 공급선을 확보하고 다변화함으로써 새로운 성장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