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산업
사출 / 압출 / 금형 /원료
검색
메뉴 열기/닫기
전체
인터뷰
산업뉴스
기술/제품
산업동향
포토뉴스
기술/
제품
뉴스홈
기술/제품
카이스트, 폐타이어를 고무·나일론 원료로 전환 성공
사진. 카이스트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십억 개의 타이어가 폐기되며, 이는 심각한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카이스트 연구진이 폐타이어를 고무나 나일론 섬유 원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 화학 원료인 고순도의 고리형 알켄으로 선택적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폐타이어 재활용 분야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카이스트 대학 화학과 홍순혁 교수 연구팀이 이중 촉매 기반 연속 반응 시스템을 개발해 폐타이어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했다고 26일(목) 밝혔다. 폐타이어는 합성고무와 천연고무의 복합체로 구성되며, 실리카, 카본
기술정보
황성훈 기자
2025-06-27 17:04:18
화학연,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로 플라스틱 원료 만드는 기술 개발
사진. 한국화학연구원 폐플라스틱을 고열로 분해하여 얻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는 최근 많은 기업이 찾는 귀중한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활용하면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여 새로운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하여 한국화학연구원(이하, 화학연) 연구진이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화학연 김도경·박용기 박사 연구팀은 최근 논문에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사용해 플라스틱 원료인 경질 올레핀을 친환경·경제적으로 생산하는 촉매와 반응기를 발표했다
기술정보
황성훈 기자
2024-09-09 15:42:09
소딕, 진화된 하이브리드 수직회전식 사출성형기 ‘VR200G’ 신개발
사진. 소딕 일본 사출기 제조사 소딕이 하이브리드 수직회전식 사출성형기 ‘VR-G Series’의 대형기종 ‘VR200G’의 판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VR200G’는 자동차부품 등, 대형화되는 인서트 성형품에 대응하기 위해 지금까지 동 시리즈의 최대금형무게 40~1,000kg 라인업에 더해 한층 더 큰 사이즈의 금형(최대 1,600kg)이 탑재되는 사양으로 제작됐다. 동 시리즈 최대급인 ‘VR200G’의 판매로 인해 금형 사이즈에 맞춰 최적의
제품소개
황성훈 기자
2024-09-06 10:53:50
비엠케이머신, 국내 최초 4색·6색 사출성형기 개발
(주)비엠케이머신의 다색 사출성형기 / 사진. 비엠케이머신 고객 니즈를 반영한 사출성형기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주)비엠케이머신(이하 비엠케이머신)이 4색·6색 사출성형기를 개발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비엠케이머신이 제작한 6색 사출성형기의 경우, 금형 4벌과 함께 사출대가 혼색으로 들어가 금형 내에서 혼합이 되며 총 6개의 색상이 각기 조절되어 한 번에 6색을 나타내는 제품을 사출할 수 있다. 비엠케이머신 관계자는 “금형 개발만 무려 3년이 걸렸다. 현재 특허 출원 중이다.”라고 귀띔했다. 현재
제품소개
문정희 기자
2024-01-08 15:57:11
(주)CIC코리아, NISSEI ASB만의 유니크한 기술 ‘더블 레이어 몰딩’
NISSEI ASB가 최근 신제품 ‘ASB-12M-2INJ’를 출시했다. 해당 장비는 NISSEI ASB만의 독창적 기술인 더블 레이어 기계로, 두 번의 프리폼 제작 과정을 통해 헤비블로우 용기, 에어리스 용기 등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과 컬러 제작도 가능하며, 무엇보다 친환경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ASB-12M-2INJ / 사진. CIC코리아 더블 레이어 몰딩의 무한한 가능성 (주)CIC KOREA(이하 CIC코리아)가 자신있게 소개하는 이번 신제품 &ls
제품소개
문정희 기자
2023-09-22 15:09:34
한국하이티엔, 일본 니가타(NIGATA)의 전동식 사출성형기 판매
니가타의 정밀 전동식 사출성형기 ‘MD-S8000’ 모델 / 사진. 한국하이티엔 독일 Zhafir의 기술력이 녹아 있는 전동식 사출성형기로 국내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한국하이티엔이 최근 일본 니가타(NIGATA)의 전동식 사출성형기도 판매하며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니가타의 신제품 정밀 전동식 사출성형기 ‘MD-S8000’ 모델은 높은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을 실현한다. 해당 모델은 형판 사이즈를 대폭 늘려 큰 금형에도 여유로운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형판 RST(Rear Si
제품소개
문정희 기자
2023-06-07 15:56:34
[전문가 기고] 플라스틱 분진 제거율 98%의 진공 터보 사이클론 기반 분진 제거 장치, 더스트제로
분진 제거 기술은 플라스틱 성형 시 불량률을 줄이고, 재생 원료 사용 비중을 높여 탄소 저감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이다. (주)크러텍은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공기 증폭 방식 및 호퍼 사이클론 방식과 완전히 차별화되는 진공 터보 사이클론 방식을 개발, 이를 기반으로 한 분진 제거 장치 더스트제로 시리즈로 98%의 분진 제거율을 공인받았다. 동사는 더스트제로의 분진 제거 방식이 지닌 기술적 특징을 본지를 통해 전한다. 더스트제로 & 더스트제로 플러스 / 사진. 크러텍 플라스틱 업계 핫이슈 ‘원료 효율 향상’
기술정보
정대상 기자
2023-05-31 13:22:16
현대전기기계공업, 스마트디더스트로 원료 효율 높여
Smart Deduster / 사진. 여기에 플라스틱 사출/압출 성형 주변기기 및 자동화 설비 제조 기업 현대전기기계공업이 혁신 기능을 탑재한 분진제거장치 ‘Smart Deduster’를 공개했다. Smart Deduster는 분진 함유량에 따라 속도 조절이 가능하고, 설치가 쉽도록 콤팩트하게 설계됐다. 또한 특화된 이오나이저를 적용해 정전기를 방지하면서 분진 포집 능력을 향상시켰다. 현대전기기계공업의 Smart Deduster는 대용량 재생 펠릿 및 신품 소재의 분진을 제거하는 데 적합하다. 현대전기기계공업
제품소개
정대상 기자
2023-03-21 17:22:33
서초구, 다회용 컵 무인 반납기 운영해 1회용 컵 사용 줄인다
서초구청사 내 다회용컵 무인반납기 이용 사진 / 사진. 서초구청 서울 서초구가 1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기 사용 문화정착을 위해 청사 내 카페에 다회용 컵 무인 반납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이는 서초구가 지속적으로 노력중인 1회용품 없는 도시 서초 만들기의 일환이다. 이번 다회용 컵 무인 반납기는 서초구청사 로비에 위치한 장애인자활카페인 늘봄카페에 설치돼있다. 음료 주문 시 다회용 컵 보증금 1,000원을 함께 계산하고, 음료를 다 마신 후 사용했던 다회용 컵을 무인 반납기에 반납하면 현금 또는 포인트로 보
제품소개
윤소원 기자
2023-01-20 14:01:04
롯데케미칼, 국내 업계 최초 폴리머 제품 위해성 평가 실시
가전제품의 내외장용 소재로 적용되는 ABS / 사진.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자사 생산 제품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한다. 제품 위해성 평가는 특정 화학 제품이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결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평가체계다. 제품에 함유된 물질·함량·독성과 인체·대기·물·토양 내 노출량, 잔류성 등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제품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전달한다. 이는 화학 제품에 노출되는 작업자와 최종 고객의 위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품소개
정하나 기자
2023-01-10 14:30:04
AI 비지도 방식 비전검사와 오토인코더(AutoEncoder) 모델
(주)쓰리디산업영상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근간으로 비전검사에 대한 토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비전검사 자동화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다. 이번 호는 (주)쓰리디산업영상이 제시하는 ‘AI 비지도 방식 비전검사와 오토인코더 모델’에 대해서 설명한다. 오토인코더 모델 AI 신경망(Neural Network)으로 구현된 오토인코더(AutoEncoder) 모델은 양품 영상만을 학습한 후 검사영상의 부분적인 변화(결함)를 검출해내는 비지도(Unsupervised) 방식 영상검사에 이용된다. 검출기술의 핵심은
기술정보
문정희 기자
2022-11-25 14:25:55
AI 비전검사 기술과 미세 플라스틱 검출
(주)쓰리디산업영상은 소프트웨어 기술을 근간으로 비전검사에 대한 토털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비전검사 자동화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다. 이번 호는 (주)쓰리디산업영상이 제시하는 ‘AI 비전검사 기술과 미세 플라스틱 검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미세 플라스틱과 AI Deep-Learning 기술 미세 플라스틱은 생물물리학적 용어로 지구상에 존재하며 환경을 오염시키는 미세한 플라스틱을 의미한다. 특히 커다란 플라스틱이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해되면서 바다 속과 해수면을 떠다니며 해양환경에서 큰 문제를 일
기술정보
문정희 기자
2022-10-25 17:45:12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광고모집중
포토뉴스
더보기
제2차 산업부-중기부 정책협의회 개최
[포토] 나노융합R&D성과홍보관, 한국형 뉴딜 실현을 위한 나노 기술 한자리에
[포토] 나노코리아 2021, 전격 개막!
[포토] 제2차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개최
산업동향
더보기
독일 플라스틱 포장용품 시장 전망
미국 플라스틱 바닥재 시장 동향
[산업전망] 인도 EPDM 시장 전망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사이언스코, 스페셜티 폴리머 소재로 아시아 전기차 시장 개척 박차 가한다
[인터뷰] 정우케미칼, 산업용급 성능 가진 B2C 신제품 출시하며 라인업 강화한다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
[BUTECH 2025 Preview] (주)우진플라임, BUTECH 2025 최대 규모 참가
[인터뷰] 백두산냉열, 냉각기의 대형화•고급화로 틈새시장 공략
광고모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