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기술원, 3D 융합센터 이동길 박사
-미국 라스베가스 CES전시회에 출품예정
실제환경 속에서 가상의 현실세계를 동시에 중첩하여 보여주는 세계최고 수준의 차세대 스마트 글래스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광기술원(원장 박동욱) 3D연구센터는 최근 현실의 실제 배경에 3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 구현의 투과형 차세대 웨어러블 스마트 글래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증강현실 구현의 투과형 스마트 글래스’는 오는 6일부터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3D 디스플레이 관련 세계적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15”에 출품할 계획이다.
한국광기술원 이동길 박사팀이 개발한 증강현실 구현 스마트 글래스는 가상세계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현실의 실제 환경을 볼 수 없었던 기존의 차폐형(See-Closed type) 스마트 글래스와 달리 사용자가 현실과 가상의 환경을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투과형(See-Closed type) 의 신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이박사 팀이 개발한 이번 기술은 양안식 글래스의 좌우 영상을 각 디스플레이 소자로 분리 재생하여 좌우 글래스간의 상호 간섭 없이 완벽한 3D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데다 제품에 사용된 모듈을 플라스틱으로 구성하여 무게를 15g으로 초경량화 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 모듈에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고 스마트 안경 모듈에서 구현되는 HD급 영상을 3미터 앞에서 86인치 크기의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다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각 40도를 구현하는 등 세계 최고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증강현실 구현이 가능한 스마트 글래스는 글래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의 맥박 및 장기 위치와 상태 등을 보면서 수술을 할 수 있는 의료수술용 스마트 글래스를 비롯하여 복잡한 항공엔진의 정비에 필요한 정보를 보면서 정비를 할 수 있는 항공정비 등 복잡하고 정밀한 작업이 필요한 산업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스마트 폰 보급이 대중화 되면서 군용 FPV(First Person View), 개인용 네비게이터, 방송, 건축설계, 제조공정관리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에 한국광기술원 이박사 팀이 개발한 증강현실 구현 투과형 스마트 글래스는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국내 3D 스마트 글래스 관련 산업의 발전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국광기술원과 함께 이번 투과형 스마트 글래스 제품개발에 공동으로 참여한 (주) 엘비전테크 박수원 대표는 “오는 6일부터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CES2015에 전시될 웨어러블 스마트 디스플레이 제품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 연결을 위해 와이파이 모듈과 블루투스 4.0을 장착한 86인치와 64인치 화면의 두가지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며 “세계 최고기술의 제품인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스마트 글래스 관련 엔터테인먼트용 글로벌 시장에서 선점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한국광기술원 www.kop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