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진플라임 기술교육원이 [월간 플라스틱기계산업] 독자들을 위해 사출성형 설비 운영에 필수적인 교육 정보를 매월 연재 형식으로 제공한다. 이번 호에서는 사출성형 설비의 유지관리 필요성을 강조하며, 점검 및 보전 방법에 대해 소개했다.
1. 유지관리 필요성
사출성형 설비의 점검과 보전을 위해서는 매뉴얼에 따라 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사출성형 설비, 금형, 주변 설비를 점검하고 보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출성형 설비의 관리 매뉴얼에 따라 누유 및 누수가 없도록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고, 사출성형 설비의 관리 매뉴얼에 따라 소모성 부품의 마모와 손상 여부를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사출성형 설비는 안전관리 소홀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고, 기계 설비의 수명 및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특히 성능 부족으로 인한 품질의 저하를 막고, 생산 제품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지관리가 반드시 요구된다.
2. 사출성형 설비 유지보수 기준서
사출성형 설비 유지보수 기준서는 관리에서 기본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항목으로, 양산 협력사에서 관리하는 모든 사출성형 설비에 대한 유지보수 방법, 점검사항 등에 대한 기본 원칙을 포함한다.
사출성형 설비의 유지보수 기준서는 양산 협력사 에게 사출성형 설비 유지보수 업무에 대한 기본 원칙을 제시해 사출성형 설비의 기초 품질을 지속 유지하도록 관리 방안을 규정, 제품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다.
3. 설비 유지관리 내용
장비를 정기적으로 청소하는 것은 기계의 수명을 연장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생산 능률을 높이기 위해 슬라이딩 부 청결을 유지하고, 타이바, 부스터 실린더 로드, 사출이나 노즐 피스톤 로드 등의 부위의 오일을 제거해야 한다.
특히 사출성형 설비의 그리스나 윤활유가 공급되는 부위는 청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존에 경화 고착된 이물질은 반드시 제거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그리스 및 윤활유 자동공급기는 형체 측과 사출 측의 공급량을 알맞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동으로 구동하는 장치는 기준서와 표준서를 비치하고, 이에 따라 정기적으로 공급 및 확인해야 한다.
그리스 및 윤활유 자동공급기
유지관리 소홀로 인한 터글 링크 및 형판 크랙 발생
안전 고리는 반드시 걸쇠가 설치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유압식 사출성형 설비의 유압 작동유 관리 또한 매우 중요하다. 유압 작동유는 온도가 항상 적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며, 청결을 유지하며 분기별로 점검하고 관리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작동유 온도는 35~45℃로 유지해야 하는데, 이는 작동유 온도가 낮으면 작동유 점도가 높아지고 펌프 흡입 유량이 부족해져 각 유압 장치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압력 손실, 동력 소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작동유 온도가 높으면 점도가 낮아지게 되고 펌프 효율이 감소, 운동부의 전단 마찰이 가속화돼 유압 장치의 동작 정밀도가 떨어지게 된다.
작동유 확인 창과 필터 부품들
작동유 냉각 장치
아울러 호퍼 밑 온도는 사용하는 수지 융점(Melting Point) 보다 낮게 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70~80℃ 기준으로 관리한다. 호퍼 밑 부위가 융점 이상이 되면 수지가 펠릿(Pellet) 형태에서 덩어리 형태로 변화되고, 수지 이송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호퍼 밑 냉각수 입·출수 라인
한편 이 외에도 안전문의 스위치 점검 및 비상 스위치의 동작 여부 확인, 사출성형 설비의 안전문과 관련된 리미트 스위치와 안전밸브 등의 안전장치를 점검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설비의 유지관리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전 사원이 모두 보전 관리자라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
안전문의 스위치 점검 및 비상 스위치의 동작 여부 확인
사출성형 설비의 안전문과 관련된 리미트 스위치와 안전밸브
사출성형 설비의 입·출력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