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산업
사출 / 압출 / 금형 /원료
검색
메뉴 열기/닫기
전체
인터뷰
산업뉴스
기술/제품
산업동향
포토뉴스
산업
뉴스
뉴스홈
산업뉴스
DNP, 낮은 소비 전력으로 깨끗한 화면 실현하는 미니 LED 디스플레이용 광확산 필름 개발
사진. DNP 최근 액정이나 유기EL(OLED)에 이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미니 LED나 마이크로 LED가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니 LED의 칩 사이즈는 100㎛에서 200㎛, 마이크로 LED의 칩 사이즈는 5㎛에서 100㎛로 정의되며, 칩 하나하나가 개별적인 화소나 광원이 되므로, 디스플레이 크기 및 형태에 대한 제약이 해소되며 기존의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선명한 화질의 구현과 낮은 소비 전력 성능이 특징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TV나 PC 등에서 일부 채택되기 시작해 향후 소형전자 디바이스에도 확산 적용될 것으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21 18:08:04
KOPLAS 2025 오는 3월 개최, 플라스틱-고무 원재료부터 로봇 자동화까지 '한눈에'
플라스틱 산업 트렌드 ‘한눈에’ 2025 국제 플라스틱·고무 산업전(이하 KOPLAS 2025)이 오는 3월 11일(화)부터 14일(금)까지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개최된다. 올해 또한 예년과 마찬가지로 한국 소재·복합재료 및 장비전(K-Mtech)과 국제 금형 및 관련산업전(INTERMOLD KOREA) 동시 개최로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플라스틱 신기술 세미나, 해외바이어 수출상담회, 2025 Plastic Future Zone 등 다양한 부대행사를 준비해 참가업체 및 참관객들
산업뉴스
정대상 기자
2025-01-20 18:49:23
코오롱인더스트리, 베트남 타이어코드 공장 생산 역량 확대
사진.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글로벌 타이어코드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베트남 공장 생산 역량을 확대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14일(화) 약 300억 원을 투자해 베트남 공장에 타이어코드 열처리 설비를 추가한다고 밝혔다. 타이어코드는 타이어의 뼈대 역할을 하는 섬유 보강재로 자동차의 안전과 성능을 담보하는 중요 소재다. 타이어코드 생산은 물성이 확보된 섬유를 만드는 방사, 섬유에 강력을 부여하고 직물로 만드는 연사 및 제직, 그리고 타이어와의 접착력 및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는 열처리까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7 11:37:20
igus, 최대 2m까지 확장 구동 가능한 PTFE 프리 텔레스코픽 레일 개발
사진. 이구스 향후 더 엄격해질 PFAS 화학 물질 규제에 맞춰 제조업계는 문제가 없는 새로운 제품을 찾고 있다. igus는 고객에게 안전한 텔레스코픽 레일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PTFE를 포함한 100여가지 PFAS 화학물이 첨가되지 않은 drylin NT60 시리즈 텔레스코픽 레일을 개발했다. 최대 2m까지 확장 구동돼 차량, 가구, 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향후 더 엄격해질 PFAS 화학 물질 규제에 맞춰 제조업계는 문제가 없는 새로운 제품을 찾고 있다. igus는 고객에게 안전한 텔레스코픽 레일 솔루션을 제공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5 17:57:15
한국화학연구원, 소재 합성에 필요한 재료 물질 예측하는 인공지능 방법론 개발
사진. 한국화학연구원 최근 배터리,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첨단 소재는 매우 중요하다. 원하는 소재를 합성하려면 중간 물질을 먼저 찾아야 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 반복적인 실험 없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찾으려는 수요가 높다. 이에 한국화학연구원이 목적 물질의 화학식 정보만으로 합성에 필요한 최종 재료 물질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소재 합성 전 과정에 대한 자동화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합성 반응 쉽게 일어나는 전구체 찾아낸다 한국화학연구원 나경석 선임과 한국과학기술원 박찬
산업뉴스
정하나 기자
2025-01-15 17:45:26
파나소닉 홀딩스, 해양 생분해성 셀룰로오스 파이버 성형재료 개발
사진. 파나소닉 홀딩스 파나소닉 홀딩스 주식회사 MI 본부는 지금까지 개발해 왔던 식물 유래의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고농도로 수지에 섞는 기술을 해양 생분해성의 식물 유래 수지 등에 전개해 해양환경에서 완전 생분해성을 가지는 성형재료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양 생분해성 수지에 셀룰로오스 파이버를 고농도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해양 생분해성이 양립하는 성형재료의 개발에 성공했다. 최근 해양 플라스틱 문제나 석유자원의 고갈,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문제에서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및 해양오염의 방지가 국제연맹의 개발목표로서 정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17:58:45
경북대학교, 600℃까지 견디면서 액상 성형 가능’ 수지 개발
사진.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이하 경북대) 공과대학 섬유시스템공학과 남기호 교수팀이 600℃급 내열성을 발휘하면서 액상성형이 가능한 초내열 수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초내열 수지는 우주항공, 미래 모빌리티 등 고온 환경에서 작동하는 부품의 경량화와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대 남기호 교수팀은 열적 특성이 우수한 헤테로 방향족고리 구조를 가진 올리고머 전구체를 합성하고, 반응성 말단 캡핑제를 사용해 고온에서 경화되는 PETI(페닐에티닐 종결된 이미드) 수지를 개발했다. 이 수지는 초기 분해 온도가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17:16:20
LG화학, 태국 에스테틱사업 확장 나선다
사진. LG화학 LG화학이 태국 에스테틱 시장서 사업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 LG화학은 10일(금) PN(Poly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티드)성분 스킨부스터 ‘비타란(HP VITARAN, 수출명 HP Cell VITARAN i)’ 태국 판매를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태국법인의 직판망을 바탕으로 2021년 태국에 첫 선을 보인 미용필러 ‘이브아르(YVOIRE)’에 이어 에스테틱 제품군을 확장한 것으로 두 제품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의료미용 분야의 대표적 고성장 국가인 태국시장 공략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16:52:07
SK케미칼, 2025년 스페셜티 전략으로 화학업계 불황 돌파
사진. SK케미칼 SK케미칼 안재현 사장은 8일(수) “섬유 중심 사업 구조를 범용 소재를 거쳐 고부가 가치 소재 중심으로 성공적 변화를 이뤄낸 혁신 DNA를 바탕으로 당면하고 있는 위기를 뛰어넘고 다가올 미래 사업의 성장을 위해 몰입하겠다”는 2025년 경영 전략을 밝혔다. 안 사장은 “2024년 국내 화학업계의 전례 없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우리만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OI(Operation Improvement) 역량과 스페셜티 케미칼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의미 있는 사업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09:05:58
코오롱스페이스웍스, 글로벌 모빌리티 부품·소재 시장 공략 나선다
사진. 코오롱스페이스웍스 우주∙방산 등 첨단소재 기술력을 보유한 코오롱스페이스웍스가 모빌리티 부품·소재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자체 개발한 54리터(L) 수소 연료탱크(이하 수소탱크)가 국제연합 유럽경제위원회(UN ECE)의 R134 인증을 획득했다고 7일(화) 밝혔다. R134 인증은 ECE가 제정한 고압 용기 제품에 대한 판매 자격으로 이를 완료한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수소전기차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에 사용되는 수소탱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된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08:56:17
소딕, ‘사출성형기 사업부’를 ‘산업기계 사업부’로 조직개편 실시
사진. 소딕 최근 미세·정밀 부품의 수요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는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소딕이 2025년 1월 1일(수)부로 기존의 ‘사출성형기 사업부’를 ‘산업기계 사업부’로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소딕은 조직 개편을 통해 신기술이나 요소 기술의 개발과 향상에 노력해 혁신적인 기술을 탑재한 기계 장치의 제공 및 하드면에서의 한층 더 성장을 추진해 갈 계획이다. 신소재나 공법의 개발, 금형을 포함한 자동화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객 및 장비 제조사와 제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09 18:34:12
롯데케미칼, 현대차·기아와 친환경 플라스틱 솔루션 협업 확대
신차 모델 내장부 적용 검토소재 친환경 PC/PET (롯데케미칼-현대차·기아-서연이화 협업) / 사진.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현대차·기아 AVP본부 기초소재연구센터와 협업해 모빌리티용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1월 13일(수)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개최된 ‘친환경 소재 및 차량 전시회’에 참가해 기아의 EV3 스터디카의 ’Rear Lamp Lens’ 부품에 친환경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09 17:55:38
FIRST
PREV
16
17
18
19
20
NEXT
LAST
광고모집중
포토뉴스
더보기
제2차 산업부-중기부 정책협의회 개최
[포토] 나노융합R&D성과홍보관, 한국형 뉴딜 실현을 위한 나노 기술 한자리에
[포토] 나노코리아 2021, 전격 개막!
[포토] 제2차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개최
산업동향
더보기
독일 플라스틱 포장용품 시장 전망
미국 플라스틱 바닥재 시장 동향
[산업전망] 인도 EPDM 시장 전망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사이언스코, 스페셜티 폴리머 소재로 아시아 전기차 시장 개척 박차 가한다
[인터뷰] 정우케미칼, 산업용급 성능 가진 B2C 신제품 출시하며 라인업 강화한다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
[BUTECH 2025 Preview] (주)우진플라임, BUTECH 2025 최대 규모 참가
[인터뷰] 백두산냉열, 냉각기의 대형화•고급화로 틈새시장 공략
광고모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