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산업
사출 / 압출 / 금형 /원료
검색
메뉴 열기/닫기
전체
인터뷰
산업뉴스
기술/제품
산업동향
포토뉴스
전체
뉴스홈
전체
롯데화학군, 임원 및 팀장 대상 ‘2025 리더십 서밋(Leadership Summit)’ 개최
사진. 롯데그룹 화학군 롯데그룹 화학군(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롯데알미늄 등, 이하 롯데화학군)이 지난 22일(화) 롯데인재개발원 오산캠퍼스에서 롯데화학군 임원 및 팀장을 대상으로 ‘2025 Leadership Summit’ 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 위기 극복과 실천적 리더십을 통한 조직 혁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오전에는 경영 현황과 전략 방향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비즈니스 혁신을 주제로 외부 강연이 이어졌다. 오후에는 롯데화학군 이영준 총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7-24 16:27:01
인티맥스, AI 기반 금형 감시 솔루션 ‘INTIVI-MM’으로 업계 주목
사진. 인티맥스 지난 3월 개최된 2025 국제 플라스틱·고무 전시회(이하 KOPLAS 2025)에서 비전검사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이며 업계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한 인티맥스(주)(이하 인티맥스)가, 전시회 이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금형감시장비 ‘INTIVI-MM’은 화장품 용기 및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등에서 잇따라 계약이 체결되며 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AI 기반 자동 학습 알고리즘 관련 특허도 정식 취득했다. INTIVI-MM은 사출 공정의 품질과 작업자 안전을 동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7-24 09:02:18
롯데케미칼, ‘환경표지 적합원료 공급망 인증’ 참여
사진.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환경표지 인증기준 적합원료 공급망’에 참여하며, 고객사의 친환경 인증 획득을 위한 지원에 본격 나섰다. 이번에 롯데케미칼이 공급망에 등록한 제품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플라스틱 소재군 39종으로, 환경표지 인증기준을 충족하는 적합원료로 승인받았다. 해당 원료는 환경산업기술원의 통합 인증플랫폼 ‘에코스퀘어’의 환경표지 인증시스템에 공개돼 고객사가 자유롭게 활용할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46:12
SABIC, 난연성 나노몰딩용 PBT 신소재 출시
SABIC 본사 전경 / 사진. SABIC 글로벌 화학 기업 SABIC이 소비자 전자기기용 경량 하이브리드 부품 수요 증가에 대응해 난연성과 기계적 성능을 동시에 갖춘 PBT 기반 나노몰딩 소재 ‘LNP Thermotuf WF0087N’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는 난연성을 확보한 나노몰딩 기술(NMT) 전용 PBT 소재로, 2025년 에디슨 어워드(Edison Awards) 수상작으로 선정되며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이번에 출시된 LNP Thermotuf WF0087N은 박형화(Thin-wall) 구조에서도 난연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37:03
대진첨단소재, 플라스코테크와 플라스틱 소재 공급 계약 체결
사진. 대진첨단소재 첨단소재 전문기업 대진첨단소재는 이탈리아 제조기업 플라스코테크(PLASCO TECH)와 150억 원 규모의 플라스틱 소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7월 21일(월) 밝혔다. 이번 계약은 오는 10월부터 2028년까지 총 3년간 연간 50억 원 규모로 제품을 공급하는 조건이다. 플라스코테크는 플라스틱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자동 도장(Painting), 부품 조립(Assembly) 등 고정밀 공정 기술을 보유한 제조 전문기업으로, 유럽과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29:36
성균관대학교, ‘도깨비풀’ 원리 적용한 나노플라스틱 범용 센서 개발
‘외부현상(Epizoochory)’의 메커니즘 소개 및 나노플라스틱 검출 개략도 / 사진.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는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 교수 연구팀이 전기화학 기반의 ‘범용 나노플라스틱 센서’를 지난 7월 10일(목)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은 복잡한 환경 시료에서도 나노플라스틱을 고감도로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실시간 환경 오염 진단의 새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식물의 씨앗이 동물의 털에 달라붙어 이동하는 ‘외부현상(Epizoochory)&r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20:39
스털링그룹, 특수 패키징 기업 PCI 지분 과반 인수
사진. 스털링그룹 미국 중견 사모펀드 운용사 스털링그룹(Sterling Group)이 특수 경질 패키징 전문 기업 Precision Concepts International(이하 PCI)의 지분 과반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인수는 기존 대주주였던 캐나다계 사모펀드 ONCAP로부터 이루어지며, ONCAP과 경영진은 소수 지분 투자자로 남아 PCI의 성장을 계속 지원할 예정이다. PCI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헌터스빌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미국 내 5개 제조시설과 캐나다·코스타리카 지사를 통해 퍼스널케어, 생활용품,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15:52
Plastixs, 클램프 없는 호수 출시
‘Mouldpro HiTemp EPDM Push-On 호스’ / 사진. Plastixs 플라스틱 사출성형 및 소재 이송 장비 전문업체 Plastixs가 고온 환경에서 성능을 유지하는 ‘Mouldpro HiTemp EPDM Push-On 호스’를 새롭게 선보였다고 밝혔다. 해당 제품은 최대 약 121℃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기존 호스와 달리 별도의 클램프 없이도 푸시온 방식의 피팅과 결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일반 호스가 121℃ 정도의 사용온도만을 지원해 고온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05:40
고려아연, 'BOTTLE'과 기술 공동 개발
'BOTTLE'의 주요 사업 파트너 및 협력 내용 / 사진. 고려아연 고려아연이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폐플라스틱 순환 기술 컨소시엄 ‘BOTTLE’과 손잡고 폐플라스틱 자원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 양측은 2년간의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고려아연의 전자폐기물 재활용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재활용 기술을 공동 연구한다고 밝혔다. BOTTLE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설계한 생물 기반 최적화 기술(Bio-Optimized Technologies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03:05
배를린 패키징, 화장품 전문 포장업체 코스페이 인수
베를린 패키징ㆍ코스메이 M&A 합의 / 사진. 베를린 패키징 글로벌 패키징 솔루션 기업 베를린 패키징(Berlin Packaging)이 이탈리아 화장품 패키징 전문 기업 코스메이(Cosmei)를 인수하기로 합의하며 뷰티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이어간다. 베를린 패키징은 이번 인수 소식을 공식 발표하며, 글로벌 시장 내 패키징 포트폴리오 강화와 화장품 분야 전문성 확대라는 전략적 목적을 강조했다.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본사를 둔 베를린 패키징은 유리·플라스틱·금속 포장재를 아우르는 세계 최대 하이
산업뉴스
임승환 기자
2025-07-23 16:00: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빛으로 바이러스 없애는 항바이러스 플라스틱 복합소재 개발
(왼쪽부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수민 교수, 이유진 박사과정, 김태용 교수 / 사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러스 전파를 줄이기 위한 근본적 대책으로 항바이러스 소재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공공장소나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촉되는 실리콘, 플라스틱, 필터 등의 표면에 장기적이고 안전한 항바이러스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은 차세대 방역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한국기술교육대학교(KOREATECH, 이하 한기대)는 구리 기반 광촉매를 활용한 고성능 항바이러스 고분자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혀 주목을 받고 있다. 한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7-23 15:56:45
일본제강소(JSW), 4,000톤급 전동식 초대형 사출성형기 출시
일본제강소의 4,000톤급 전동식 초대형 사출성형기 'J4000F-22000H' / 사진. 일본제강소(JSW) 전기차 확산과 함께 차량 경량화 요구가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며, 대형 플라스틱 부품에 대한 정밀 사출 성형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범퍼, 백도어, 트렁크 커버, 배터리 케이스 등 복잡하고 부피가 큰 부품의 일관된 품질 확보를 위해 초대형 사출성형기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에 일본제강소(Japan Steel Works, 이하 JSW)는 기존 유압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생산성·정밀도&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7-23 15:51:04
FIRST
PREV
1
2
3
4
5
NEXT
LAST
광고모집중
포토뉴스
더보기
제2차 산업부-중기부 정책협의회 개최
[포토] 나노융합R&D성과홍보관, 한국형 뉴딜 실현을 위한 나노 기술 한자리에
[포토] 나노코리아 2021, 전격 개막!
[포토] 제2차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개최
산업동향
더보기
독일 플라스틱 포장용품 시장 전망
미국 플라스틱 바닥재 시장 동향
[산업전망] 인도 EPDM 시장 전망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사이언스코, 스페셜티 폴리머 소재로 아시아 전기차 시장 개척 박차 가한다
[인터뷰] 정우케미칼, 산업용급 성능 가진 B2C 신제품 출시하며 라인업 강화한다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
[BUTECH 2025 Preview] (주)우진플라임, BUTECH 2025 최대 규모 참가
[인터뷰] 백두산냉열, 냉각기의 대형화•고급화로 틈새시장 공략
광고모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