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산업
사출 / 압출 / 금형 /원료
검색
메뉴 열기/닫기
전체
인터뷰
산업뉴스
기술/제품
산업동향
포토뉴스
전체
뉴스홈
전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첨단소재 연구개발 발전전략 발표
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제5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첨단소재 연구개발 발전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은 세계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이 되는 첨단소재 기술의 조기 선점을 추진하고자 마련됐다.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첨단소재의 기술 수준이 미국, 일본에 이어, 중국도 우리를 추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첨단소재의 기술력 저하는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핵심 공급망의 위협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바, 세계 공급망 위험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전략
산업뉴스
정하나 기자
2024-12-16 11:23:47
오사카대학, 생분해성 폴리머 개발
사진. 오사카대학 오사카 대학 대학원 이학연구과의 Liu Jiaxiong 대학원생, 다카시마 요시노리 교수, 이구라 코헤이 프로젝트 조교수, 프로젝트 조교수 야마오카 겐지, 공학연구과의 우야마 히로시 교수, 스가와라 아키히데 조교수, 그리고 Kyoeisha Chemical의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 팀은 생분해성 고분자에 독특한 분자 설계와 재료 설계를 적용했다. 재료의 인성은 기존 재료의 8배에 의해 달성됐다.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에는 생촉매인 리파아제가 사용됐다. 효소 촉매 분해분해 속도를 20배 향상시켜 고분자 재료를 재구성하
산업뉴스
정하나 기자
2024-12-13 16:59:17
GS칼텍스, 탄소 배출량 감축 기여
사진. GS칼텍스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 김정수 부사장, 남해화학 김창수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 공동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GS칼텍스의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은 남해화학이 보유한 유휴황산공장을 활용해 여기서 생산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 여수공장에 도입, 기존 사용 중인 LNG원료 스팀을 대체하는 사업이다. 새롭게 생산하는 무탄소 스팀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이다. GS칼텍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 LNG원료
산업뉴스
정하나 기자
2024-12-13 16:50:09
'수출 쾌조' 현대전기기계공업, 올해 수출액 480만弗 넘겨
사진. 현대전기기계공업 플라스틱 사출·압출 성형 주변 기기 및 시스템 전문 기업 현대전기기계공업이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도 올해 수출액 480만 달러를 달성하면서 세계 시장에서의 성과를 이어나가고 있다. 수주 물량 기준으로는 500만 달러 고지를 이미 돌파했다. 1989년에 설립된 현대전기기계공업은 플라스틱 성형 공정에 요구되는 다양한 주변기기를 생산하면서 사출 공정 합리화 시스템 설비를 공급하고 있다. 1990년대 초 국내 사출기 제조사와 협력해 미국 수출을 시작한 동사는 2002년 해외 영업부를 개설하면서 본격적으
산업뉴스
정대상 기자
2024-12-12 14:12:30
삼화페인트, 컬러강판용 코팅재 UL ECV 인증 업계 첫 획득
사진. 삼화페인트 삼화페인트공업㈜(이하 삼화페인트)은 지난해부터 동국씨엠과 협력해 글로벌 친환경 규제에 대응할 친환경 소재 개발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삼화페인트는 폐플라스틱을 화학적 재활용한 PCM(Pre-Coated Metal, 컬러강판)용 코팅재를 개발했으며, 미국 안전규격 인증기관인 UL의 ‘ECV 2809 리사이클드 콘텐트(Environmental Claim Validation 2809 Recycled Content)’ 인증을 페인트 업계 최초로 취득했다. UL ECV(Environmental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4-12-10 17:58:19
LG화학, '이축연신 폴리에틸렌 기술' 대한민국 기술대상 ‘대통령상’ 수상
사진. LG화학 LG화학의 친환경 플라스틱 패키징을 위한 기술이 2024 대한민국 산업기술 R&D대전 기술대상에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11월 27일(수)에 수상했다. ‘대한민국 기술대상’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최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기술 시상식이다. 기술적 성과가 뛰어나고 관련 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신기술 및 제품을 개발한 기업, 연구소, 대학교 등을 선정해 시상한다. LG화학이 개발한 ‘이축연신 폴리에틸렌(Biaxially Oriented Poly Ethylene, BOPE)’은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4-12-03 18:20:00
중국 시민사회단체, 부산에서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 위한 공동 행동 모색
사진. 녹색재활용플라스틱공급망그룹 (Green Recycling Plastic Supply Chain Group) 11월 25일(월) 부산에서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국제협약 마련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INC-5)의 그룹별 협의 개시 하루 전 24일에 ‘공동행동: 글로벌 플라스틱 오염 해결을 위해 협력하는 중국 시민사회단체’(Action Together: CSOs in China Against Global Plastic Pollution) 행사가 열렸다. 부산 해운대 웨스틴조선 호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4-11-29 15:06:08
한국에너지연구원, 열 순환으로 열분해유 대량생산 공정기술 개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열분해유 / 사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너지연)은 CCS연구단 황병욱 박사 연구팀이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 주로 활용되는 순환유동식 공정을 적용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고 열분해유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 개발에 성공했다고 11월 28일(목)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가정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에 세계 각국은 폐플라스틱의 친환경적 처리를 위해 열분해와 같은 재활용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우리 정부도 2030년까지 플라스틱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4-11-28 14:33:23
SK케미칼·국순당, 전통주 업계 최초 순환 재활용 용기 상업화
순환 재활용 페트(CR PET)를 적용한 제품 ‘옛날 막걸리 古’ / 사진. SK케미칼 SK케미칼과 국순당이 순환 재활용 소재를 기반으로 주류 용기를 개발, 상용화했다. SK케미칼은 국순당의 프리미엄 전통주 용기에 순환 재활용 페트(CR-PET, Circular Recycle PET)를 적용했다고 25일(월) 밝혔다. 해중합 기술 기반 순환 재활용 페트(PET) 소재가 전통주 용기에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케미칼과 국순당은 전통주 용기에 사용하던 석유화학 기반 페트(PET) 소재를 대체하기 위해 지난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4-11-28 14:06:47
소딕, 고정밀 와이어 방전가공기 ‘AX350LiG E’ 출시
유가공액 리니어모터 구동의 초정밀 와이어 방전가공기 ‘AX350L i Groove Edition’ / 사진. 소딕 사출성형기와 수치제어(NC), 방전가공기 제조의 선구자 소딕이 긴 시간 동안 안정적인 금형 가공과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유가공액 리니어모터 구동의 초정밀 와이어 방전가공기 ‘AX350L i Groove Edition’을 출시했다. 고겅밀·고품질·고효율 생산 세계적인 탄소중립 트랜드에 따라 자동차의 전동화 수요가 급속히 증가함과 더불어 모터 코어나 커넥터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4-11-28 11:36:15
도쿄대학교, 바닷속에서 원재료까지 분해 가능한 ‘초분자 플라스틱’ 개발
도쿄대학교가 바닷속에서 원재료까지 분해 가능한 ‘초분자 플라스틱’ 을 개발했다. / 사진. 도쿄대학교 일본 도쿄대학교(이하 도쿄대) 이화학 연구소를 비롯한 국제 공동 연구팀이 강한 물성을 가지면서 바닷속에서 쉽게 원재료까지 해리해 생화학적으로 대사되는 ‘초분자 플라스틱’의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본 연구 성과는 플라스틱의 대체 재료로서 고체 초분자 폴리머의 가능성을 시사하며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 억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 분리를 이용한 초분자 플라스틱의 합성 현대 사회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4-11-28 10:39:58
폴리우레탄 수지, 2030년까지 13억 달러에 도달할 것
사진. Researchandmarkets 제조업에 적합한 소재 글로벌 리서치 기업 Researchandmarkets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글로벌 시장이 2023년에 9억 3,500만 달러로 추산되었으며, 2030년까지 13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4.5%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탁월한 기능성, 내구성 및 적응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 도입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수지는 유연한 폼과 엘라스토머에서 단단한 플라스틱, 코팅, 접착제에 적합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산업뉴스
정하나 기자
2024-11-28 10:36:35
FIRST
PREV
16
17
18
19
20
NEXT
LAST
광고모집중
포토뉴스
더보기
제2차 산업부-중기부 정책협의회 개최
[포토] 나노융합R&D성과홍보관, 한국형 뉴딜 실현을 위한 나노 기술 한자리에
[포토] 나노코리아 2021, 전격 개막!
[포토] 제2차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개최
산업동향
더보기
독일 플라스틱 포장용품 시장 전망
미국 플라스틱 바닥재 시장 동향
[산업전망] 인도 EPDM 시장 전망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사이언스코, 스페셜티 폴리머 소재로 아시아 전기차 시장 개척 박차 가한다
[인터뷰] 정우케미칼, 산업용급 성능 가진 B2C 신제품 출시하며 라인업 강화한다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
[BUTECH 2025 Preview] (주)우진플라임, BUTECH 2025 최대 규모 참가
[인터뷰] 백두산냉열, 냉각기의 대형화•고급화로 틈새시장 공략
광고모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