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산업
사출 / 압출 / 금형 /원료
검색
메뉴 열기/닫기
전체
인터뷰
산업뉴스
기술/제품
산업동향
포토뉴스
전체
뉴스홈
전체
경북대학교, 600℃까지 견디면서 액상 성형 가능’ 수지 개발
사진.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이하 경북대) 공과대학 섬유시스템공학과 남기호 교수팀이 600℃급 내열성을 발휘하면서 액상성형이 가능한 초내열 수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초내열 수지는 우주항공, 미래 모빌리티 등 고온 환경에서 작동하는 부품의 경량화와 안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대 남기호 교수팀은 열적 특성이 우수한 헤테로 방향족고리 구조를 가진 올리고머 전구체를 합성하고, 반응성 말단 캡핑제를 사용해 고온에서 경화되는 PETI(페닐에티닐 종결된 이미드) 수지를 개발했다. 이 수지는 초기 분해 온도가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17:16:20
LG화학, 태국 에스테틱사업 확장 나선다
사진. LG화학 LG화학이 태국 에스테틱 시장서 사업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 LG화학은 10일(금) PN(Poly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티드)성분 스킨부스터 ‘비타란(HP VITARAN, 수출명 HP Cell VITARAN i)’ 태국 판매를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태국법인의 직판망을 바탕으로 2021년 태국에 첫 선을 보인 미용필러 ‘이브아르(YVOIRE)’에 이어 에스테틱 제품군을 확장한 것으로 두 제품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의료미용 분야의 대표적 고성장 국가인 태국시장 공략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16:52:07
SK케미칼, 2025년 스페셜티 전략으로 화학업계 불황 돌파
사진. SK케미칼 SK케미칼 안재현 사장은 8일(수) “섬유 중심 사업 구조를 범용 소재를 거쳐 고부가 가치 소재 중심으로 성공적 변화를 이뤄낸 혁신 DNA를 바탕으로 당면하고 있는 위기를 뛰어넘고 다가올 미래 사업의 성장을 위해 몰입하겠다”는 2025년 경영 전략을 밝혔다. 안 사장은 “2024년 국내 화학업계의 전례 없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우리만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OI(Operation Improvement) 역량과 스페셜티 케미칼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의미 있는 사업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09:05:58
코오롱스페이스웍스, 글로벌 모빌리티 부품·소재 시장 공략 나선다
사진. 코오롱스페이스웍스 우주∙방산 등 첨단소재 기술력을 보유한 코오롱스페이스웍스가 모빌리티 부품·소재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자체 개발한 54리터(L) 수소 연료탱크(이하 수소탱크)가 국제연합 유럽경제위원회(UN ECE)의 R134 인증을 획득했다고 7일(화) 밝혔다. R134 인증은 ECE가 제정한 고압 용기 제품에 대한 판매 자격으로 이를 완료한 코오롱스페이스웍스는 수소전기차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에 사용되는 수소탱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된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10 08:56:17
소딕, ‘사출성형기 사업부’를 ‘산업기계 사업부’로 조직개편 실시
사진. 소딕 최근 미세·정밀 부품의 수요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는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기 위해, 소딕이 2025년 1월 1일(수)부로 기존의 ‘사출성형기 사업부’를 ‘산업기계 사업부’로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소딕은 조직 개편을 통해 신기술이나 요소 기술의 개발과 향상에 노력해 혁신적인 기술을 탑재한 기계 장치의 제공 및 하드면에서의 한층 더 성장을 추진해 갈 계획이다. 신소재나 공법의 개발, 금형을 포함한 자동화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객 및 장비 제조사와 제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09 18:34:12
롯데케미칼, 현대차·기아와 친환경 플라스틱 솔루션 협업 확대
신차 모델 내장부 적용 검토소재 친환경 PC/PET (롯데케미칼-현대차·기아-서연이화 협업) / 사진.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현대차·기아 AVP본부 기초소재연구센터와 협업해 모빌리티용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1월 13일(수)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개최된 ‘친환경 소재 및 차량 전시회’에 참가해 기아의 EV3 스터디카의 ’Rear Lamp Lens’ 부품에 친환경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09 17:55:38
한화솔루션, LG디스플레이와 손잡고 친환경 포장재 공급 확대
한화솔루션이 개발한 재활용 폴리에틸렌 (오른쪽)과 이를 적용한 전자제품용 포장재 샘플 (왼쪽) / 사진. 한화솔루션 한화솔루션이 LG디스플레이와 협력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소재로 개발한 전자제품용 친환경 포장재 공급에 나섰다. LG디스플레이가 생산하는 차량용 전장 디스플레이 출고 시 사용되는 완충용 포장재에 한화솔루션이 개발한 재활용 폴리에틸렌(Recycled PE, rPE)을 적용해 친환경 소재 활용을 확산시키겠다는 계획이다. 한화솔루션은 지난해 12월 23일(월) LG디스플레이와 전자제품용 친환경 포장재 개발을 위한 상호 협력
산업뉴스
황성훈 기자
2025-01-08 13:57:49
크러텍, CES 2025 현장서 그린 플라스틱 산업 청사진 선보인다
친환경 플라스틱 솔루션 기업 (주)크러텍(이하 크러텍)이 내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 현장에 참가해 지속 가능한 플라스틱 생태계 구축을 위한 설비들을 선보인다. 특히 동사는 지난해 CES 2024 현장에 참가해 모형으로 선보였던 미니 분쇄기 실물 제품을 올해 직접 전시하고, 현장에서 폐병뚜껑 등을 이용한 플라스틱 재활용 굿즈 제품 사출 시연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크러텍은 지난해 국내 유명 대기업 및 기관, 지자체 행사 등을 통해 병뚜껑, 페트병과 같은 폐플라스틱을 분쇄하는 분쇄 솔루션과 이를 새로운 제품
산업뉴스
정대상 기자
2025-01-06 08:48:59
[인터뷰] 셀바이오루브, 다이셀폴리머 셀퍼지(CELPURGE) 국내 공급
한 대의 가공기로 다양한 제품을 양산해야 하는 사출, 압출 성형 현장에서는 양산 제품에 따라 물성이 다른 원료나, 다른 색깔의 마스터배치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생산 제품을 변경할 때는 실린더 내에 잔여 원료나 눌어붙은 이물질 등을 밀어내는 퍼징 작업을 실시한다. 셀바이오루브는 이 퍼징 작업에 있어 깨끗한 세정력과 자기 배출성을 모두 구현한 퍼지제, 셀퍼지를 국내 고객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셀바이오루브 박병곤 대표 / 샤진. 여기에 퍼지제 전문 기업 ‘셀바이오루브’ 사출 및 압출성형 공정에서 생산 제품을
기업탐방
정대상 기자
2024-12-26 11:02:40
고용노동부, 안전동행지원사업 규모 100억 원 확대, 산재예방시설융자도 소폭 증가
지난 12월 10일(화) 국회 본회의에서 2025년도 주요 부처별 예산안이 의결됨에 따라 제조 기업이 주목해야 할 2025년도 주요 사업들 또한 대략적인 규모가 확정된 상황이다. 고용노동부의 올해 총 예산은 35조 3,452억 원, 이는 지난 2024년 본예산 대비 4.9% 증가한 수준이다. 총 증가액은 1조 6,627억 원이다. 그중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 보호를 위한 산업안전 관련 항목은 ▲중소기업 안전 역량 강화 ▲위험 요인 제거 및 화학사고 예방 ▲인프라 확충 ▲복귀 지원 등이다. 중소기업 안전 역량 강화 사업은 중대재해 등
산업뉴스
정대상 기자
2024-12-26 10:56:59
서울대학교, 잘 찢어지지 않는 자가치유 소재 공개
사진. 서울대학교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학교 화학부 강지형 교수 연구팀이 높은 파단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구현한 자가치유 고분자 센서 소재의 설계 및 제작에 성공했다고 혔다. 개발한 이 소재는 차세대 연성 전자기기가 다양한 환경에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이 마련됐다고 볼 수 있다. 기술 개요 전자 피부와 같은 연성 전자기기는 건강 모니터링,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소프트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응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기들은 높은 신축성, 기계적 강도, 그리고 외부 손상 시 자가치유 능력을
산업뉴스
정하나 기자
2024-12-26 10:47:28
에버켐텍, 2024년 친환경·배터리 소재 국산화 위한 국책과제 수행
사진. 에버켐텍 친환경 나노 신소재 분야의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첨단소재 전문기업 에버켐텍은 활발한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2024년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발주한 8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에버켐텍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우수기업연구소 육성사업과 탄소융복합소재부품 실증사업을 비롯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컨소시엄형 기술개발지원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의 연구 주관기업으로서 핵심 소재 국산화와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에버켐텍은
산업뉴스
정하나 기자
2024-12-26 10:24:46
FIRST
PREV
16
17
18
19
20
NEXT
LAST
광고모집중
포토뉴스
더보기
제2차 산업부-중기부 정책협의회 개최
[포토] 나노융합R&D성과홍보관, 한국형 뉴딜 실현을 위한 나노 기술 한자리에
[포토] 나노코리아 2021, 전격 개막!
[포토] 제2차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개최
산업동향
더보기
독일 플라스틱 포장용품 시장 전망
미국 플라스틱 바닥재 시장 동향
[산업전망] 인도 EPDM 시장 전망
많이 본 뉴스
[인터뷰] 사이언스코, 스페셜티 폴리머 소재로 아시아 전기차 시장 개척 박차 가한다
[인터뷰] 정우케미칼, 산업용급 성능 가진 B2C 신제품 출시하며 라인업 강화한다
[스페셜리포트] 시바우라기계, 스마트 기술력 총망라한 ‘솔루션페어 2025’ 성료
[BUTECH 2025 Preview] (주)우진플라임, BUTECH 2025 최대 규모 참가
[인터뷰] 백두산냉열, 냉각기의 대형화•고급화로 틈새시장 공략
광고모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