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산업 전망] 중국 알키드 수지 산업 전망 친환경·스마트화 방향으로 발전 기회 모색 임찬웅 기자 2024-03-26 08:54:09

 

알키드 수지는 건조성, 내마모성, 부착력이 높아 도료, 페인트, 접착제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중국 알키드 수지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중국 정부 역시 해당 산업 육성을 위해 알키드 수지 산업의 친환경화, 스마트화를 추진 중이며 여러 관련 기업 역시 기술 고도화 및 생산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래 중국 알키드 산업은 친환경 및 고성능화, 3D프린트 등 첨단 산업 등과 결합을 통한 스마트 솔루션 제공 등이 전망된다.

 

개요
알키드 수지(Alkyd Resin)는 일종의 합성수지로, 알코올(알코올류 화합물, 에틸렌글리콜 등)과 산(지방산 등)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얻어진 것이다. 통상적으로 투명 혹은 반투명 황색 내지 갈색의 액체 상태이며, 용해성과 점도를 갖고 있어 안료 충전재 등의 성분을 혼합해 도료를 구성한다. 건조성, 내마모성, 부착력이 높고 기후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어 도료, 페인트, 접착제 등에 널리 활용된다.

 

분류 및 산업체인 구조
알키드 수지는 기초성분, 용도, 유지(油脂) 유형에 분류된다. 기초성분에 따른 분류는 올레인산을 주요 산성분으로하는 올레인산형, 주석산을 주요 산성분으로하는 주석산형, 프탈산을 주로 산성분으로하는 프탈산수지형이 있으며, 용도에 따라서는 크게 도료형과 접착제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유지유형에 따라서는 천연 식물유 또는 동물성 유지를 주원료로 하는 천연 유지형 및 합성 유지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 유지형이 있다. 


한편, 산업 체인의 경우, 업스트림 파트는 원재료 업체, 미들 스트림은 알키드 수지 업체, 다운스트림은 도료, 페인트, 접착제, 선박 업체 등 응용 분야로 구성돼 있다.

 

 

알키드 수지의 산업 체인 / 자료 : 궁엔연구소, 즈옌컨설팅

 

시장 동향
중국 알키드 수지 수요량은 2012년 162만 4,100톤에서 2021년 318만 5,000톤으로 증가하며 매년 지속해서 성장세를 보여왔다. 생산량은 2012년 161만 2,000톤에서 2021년 318만 톤으로 약 2배 확대됐고 연평균 증가율은 약 8%를 기록했다. 2022년은 전년 대비 약 6% 성장한 336만 3,000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 알키드 수지 생산량 및 수요량 추이(단위 : 만 톤) / 자료 : 궁엔연구소

 

중국 알키드 수지 시장은 2012년 186억 200만 위안에서 2022년 378억 6,200만 위안으로 2배 확대됐고, 연평균 8%의 성장률을 보였다. 2022년은 전년 대비 13.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알키드 수지는 주로 도료에 활용된다. 도료는 원재료 의존도가 높은 생산품으로 업스트림 재료의 성막물질(Film Forming Material)과 보조제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다. 그 중 성막물질은 도료에서 가장 기초적인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와 유액으로 조성되는데 합성수지 중 활용량이 큰 것이 알키드 수지, 아크릴산 수지, 에폭시 수지이다.
중국 알키드 수지 다운스트림에서 도료 분야의 수요량 비중은 2011년 78.4%에서 2022년 82.1%까지 증가해 왔다.

 

중국 알키드 수지 시장 규모 추이(단위 : 억 위안) / 자료 : 궁엔연구소

 

알키드 수지는 친환경 형 수지와 전통식 수지로 나눌 수 있다. 친환경 형 알키드 수지는 물이나 유화제(乳化剂)를 용매로 해 전통식 알키드 수지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도료의 건조성, 내수(耐水)성, 내부식성을 높이고 휘발성이 낮아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위험성을 낮춘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정부 및 시장의 환경보호 강화 요구에 따라, 휘발성 유기물의 감소, 인체 건강 보호, 알키드 수지 저오염화 방향으로의 발전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원가는 높더라도 친환경형 알키드 수지의 수요와 점유율이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알키드 수지 산업 발전 추세
친환경형 알키드 수지 소비량은 2022년 58만 2,000톤에서 향후 2030년 115만 9,000톤까지 약 2배의 확대가 예상돼 지속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친환경/전통식 알키드 수지 구분 / 자료 : GOS무역유지유료, Frost&Sulivan

 

특히 환경보호 인식 제고 및 정부와 소비자의 친환경 도료 수요가 증가하며 알키드 수지 산업은 OCs 배출 감소, 도료의 친환경성 제고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미래 알키드 수지 산업은 적극적으로 저(低)VOCs 혹은 무(無)VOCs의 친환경 도료를 개발해 시장 수요에 대응하려 한다. 현재 수성도료는 낮은 VOCs 함량과 친환경성으로 도료시장에서 점차 자리 잡고 있다. 향후 알키드 수지 산업은 수성도료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투입을 강화시키며 수성도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알키드 수지 산업은 신소재 기술, 스마트화 응용 등을 통해 새로운 시장 개척 및 발전 기회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예로 알키드 수지 산업은 3D프린트 기술과 결합해 전용 3D 인쇄 도료를 개발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도료 제조 기술의 혁신, 정밀도 개선·고도화·맞춤형의 도료 제품 제조를 통해 맞춤형 수요 및 하이엔드 주문 시장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또한 도료 산업에서 나노기술의 응용이 점차 확대되며, 앞으로 알키드 수지는 나노 입자를 사용해 도료의 성능을 향상하고자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미래의 알키드 수지 산업은 고성능, 지속가능성 등의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 산업은 시장수요에 빠르게 대응해 생산기술의 혁신과 최적화를 도모하고 경쟁력을 높이며 도료 산업과 더불어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려고 할 것이다.
동시에 알키드 수지 산업은 신소재 기술, 스마트화 응용 등을 통해 새로운 발전 기회와 가능성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정책 및 계획
최근 중국 정부는 도료, 접착제 등의 분야에 녹색제품 비중을 높이고, 건축 프로젝트 등에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량이 낮은 친환경 도료와 접착제 등의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일례로 중국도료산업협회는 지난 2021년 3월 ‘중국 도료 산업 14차 5개년 계획’을 발표해 오는 2025년까지 환경친화적인 도료 제품이 총생산량의 70%에 도달하도록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 공신부, 교통우순부 등 7개 기관은 2021년 5월 ‘자동차부품 재제조 표준화 관리를 위한 임시 시행 방안’을 마련해 재제조 관련 기업들은 환경보호 시설이 구비돼야 하며 휘발성 유기물 저 함량의 도료, 세정제 등을 사용해야 한다는 방침을 마련한 바 있다.


중국 생태환경부 역시 2021년 상무부 등 7개 기관과 함께 ‘자유무역시험지역의 생태환경 보호 강화 및 고품질 개발 추진에 대한 지도 의견’을 제시해 신규 건축 프로젝트에 VOCs 저 함량 및 국가제품 규정에 부합하는 도료, 인쇄잉크, 접착제 등 사용을 장려한 바 있다.
중국 국무원도 2021년 5월 ‘14.5 에너지 절약 및 오염물질 배출 감소를 위한 종합적 사업방안’을 마련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함량이 낮은 도료, 인쇄잉크, 접착제, 세정제 사용을 추진해 2025년까지 용제형 공업 도려 및 용제형 접착제 사용 비중 20%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공신부는 2022년 4월 ‘14.5 석유화학산업 고품질 발전 추진에 대한 지도 의견’을 발제해 화학비료, 타이어, 도료, 염료, 접착제 등 분야의 녹색제품 비중을 증대하며 기업의 품질 제고 및 브랜드 육성 장려를 추진하고 있다.
 
주요 기업
중국 내 대표적인 알키드 수지 산업 기업으로는 ▲Jiangsu Sanmu Group ▲Shanghai Yuanbang Group ▲Fujian Jinjiang mayor Chengfa new resi 등이 있다.


1979년 설립된 Jiangsu Sanmu Group은 현재 중국 내 대규모 도료 수지 산업 생산 설비를 갖추고 제품 종류 역시 완비된 기업으로 연간 생산량은 300만 톤에 이른다.


2003년에 설립된 Shanghai Yuanbang Group은 도료 수지 전문 생산기업으로 최신 하이테크 설비를 도입한 스마트 생산기업으로 입지를 다졌다. 현재 중국 업계 내 최신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1998년 설립된 Fujian Jinjiang mayor Chengfa new resi은 도료용 합성수지 및 경화제 개발 및 생산 전문 기업으로, 합성수지 생산 설비를 보유하고 있고 연간 생산량은 경화제 10만 톤, 공업 페인트용 수지 10만 톤에 달한다.

 

수입 동향
2022년 중국 알키드 수지의 수입액은 1,877만 5,000달러이다. 수입 지역 1위는 494만 1,000달러로 대만이 차지했으며, 2위는 말레이시아이고 독일, 태국, 미국 등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한국은 64만 8,000달러로 10위를 기록했다.

 

요약 및 시사점
알키드 수지는 건조성, 내마모성, 부착력이 높고 기후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어 도료, 페인트, 접착제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중국의 알키드 수지 수요량과 시장 규모는 지속해서 성장세를 보인다. 알키드 수지의 응용 분야 중에서는 도료 수지에 대한 수요량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알키드 수지중에서도 친환경 알키드 수지는 전통식 알키드 수지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도료의 건조성, 내수(耐水)성, 내부식성이 높고 휘발성이 낮아 인체 및 환경에 대한 위험성을 낮춘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정부 및 시장의 환경보호 추세가 강화됨에 따라 원가는 높더라도 친환경형 알키드 수지의 수요와 점유율이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 알키드 수지의 소비량은 향후 지속해서 확대가 예상돼 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중국도료산업협회 관계자는“친환경 도료가 도료 기술의 미래 발전 트렌드가 될 것이며 높은 시장 발전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중국수지협회 측은 향후 계획 발표에서 “중국 제조업은 스마트화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각 기업은 제조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 기술 혁신을 적극 도모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산업 체인망 내 융합·협력으로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 현지 신에너지 기업 관계자는 “알키드 수지 산업은 R&D 및 응용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이 있는 국가들과의 상호 협력 가능성이 크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미래 알키드 산업의 발전 추세는 ▲ 환경보호 의식 제고, 친환경 수성도료 발전에 탄력 ▲ 고성능 도료에 대한 수요 증가 ▲3D프린트 산업과 결합하여 전용 인쇄 도료 발전 ▲나노기술의 응용 확대로 도료의 성능 강화 ▲센서, 오염방지, 부식방지 등의 기능을 가진 스마트 도료 개발로 건축·교통·항공 분야에 스마트화 솔루션 ▲포장 재료에 활용되는 재생가능, 분해할 수 있는 친환경 도료 개발 등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를 고려했을 때, 미래의 알키드 수지 산업은 환경보호, 고성능, 지속가능성 등의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 시장수요에 빠르게 대응해 생산기술의 혁신과 최적화를 도모해 경쟁력을 높이면서 도료 산업과 함께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할 것이다. 동시에 알키드 수지 산업은 신소재 기술, 스마트화 등을 통해 새로운 발전 기회와 가능성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