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사출교육-LS엠트론] 유압식 사출성형기 주요 전기 부품3 유압 및 절전형 사출성형기의 이해  정대상 기자 2019-05-13 16:13:41

LS엠트론 기술교육아카데미에서 누구나 쉽게 사출성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출성형 입문자를 대상으로 한 기술 자료를 공개했다. 이번 호는 유압 및 절전형 사출성형기의 이해를 위해 ‘유압식 사출성형기 주요 전기 부품’을 다룬다. 

* 자료 : LS엠트론 기술교육아카데미(http://lsmtronacademy.com)

 

8. 무접점 릴레이 SSR(Solid State Relay)

반도체 릴레이(Solid State Relay, SSR)는 전기기계 릴레이와 다르게 움직이는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 전자 스위치이며, 무접점 릴레이라고도 한다. 반도체 릴레이의 종류는 빛에 반응하는 반도체 릴레이, 전압에 반응하는 반도체 릴레이 및 두 가지 모두 반응하는 반도체 릴레이가 있다. 빛에 반응하는 반도체 릴레이는 부하에서 광학적으로 분리된 상태이며 낮은 전압 신호로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빛에 반응하는 반도체 릴레이에서 제어 신호는 빛에 반응하는 다이오드가 동작하도록 발광 다이오드에 전압을 가한다. 광다이오드가 턴온(Turn On)되면, 연속된 사이리스터, 실리콘제어 정류기,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스위치가 부하에 연결된다.

 

구조 및 결선도(사진. LS엠트론 사출시스템사업부)

 

 

9. 변압기(Transformer)

변압기는 상호 유도 원리를 이용해 교류 전압을 더 높이거나 낮추는 데 사용되는 기기이다. 1차, 2차 두 개의 코일이 다음 그림과 같이 연철심 주위에 감겨 있다. 1차 코일에 교류 전압이 걸리면 교류 전류에 의해 자속의 변화가 나타나고, 이것은 다시 2차 코일에 유도 기 전력을 일으킨다. 2차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의 크기와 두 코일의 감긴 횟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구조 및 결선도(사진. LS엠트론 사출시스템사업부)

 

10.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근거리통신망 구축 시 단말기의 집선 장치로 이용하는 스위칭 기능을 가진 통신장비로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 허브이다. 대역폭이 커서 여러 개의 포트입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 수신 단말기의 주소 번지를 파악해 특정 포트로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구조 및 결선도(사진. LS엠트론 사출시스템사업부)

 

11. 릴레이(Relay)
전기·전자제품의 구동과 신호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이다. 코일이 감겨진 철심에 전류를 흘려 철심이 전자석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과, 반도체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포토커플러 동작에 의해 접점을 ON 시키는 구조가 있다.

 

구조 및 결선도(사진. LS엠트론 사출시스템사업부)

 

12. 퓨즈(Fuse)

부하에 규정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계속 흐르지 못하게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장치이다.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퓨즈가 녹아서 끊어진다. 
전기·전자기기나 배선 등을 보호하는 차단기 역할을 하며, 대부분의 퓨즈는 한 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새것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주로 녹는점이 낮은 납과 주석 또는 아연과 주석의 합금을 재료로 사용한다. 

 

구조 및 결선도(사진. LS엠트론 사출시스템사업부)

 

13. 비례앰프(Proportional V/V Amplifier)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출력전류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DC 입력전압 0~10V에 비례해 전류 0~1,000㎃로 출력된다.
ZERO, SPAN, DITHER 값을 조정할 수 있다.

 

구조 및 결선도(사진. LS엠트론 사출시스템사업부)